11. 8. 30. 22:48 긍정적 사고의 위험. 최근 연구에 의하면 긍정적 사고의 효용성에 대한 오래된 믿음과 달리 장미빛 환상은 성공의 기회를 잃게할 수 있다고. 최적의 성과만을 상상하기보다 세부적 해결과정이 중요하다고.RT @sciam: http://t.co/oogSM8K |
2011년 8월 31일 수요일
@swanworld, 11. 8. 30. 22:48
2011년 8월 22일 월요일
복습의 '최적 주기'
단기완성 방식으로 하나의 주제를 '떼는' 공부법이 아주 널리 퍼져있는데, 이것은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하나의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그 순간에는 모든 것이 머리 속에 다 들어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위의 그래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렇게 공부한 것은 순식간에 사라진다. "
출처: http://nullmodel.egloos.com/3663561
Q&A (댓글 참조)
- 물론 복습을 전혀 안하면 하루만 지나도 엄청나게 까먹죠. 하지만 위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그날 바로 복습을 해도 역시 엄청나게 까먹습니다. 물론 복습을 안하는 것보다는 낫죠. 위의 결과가 보여주는 것은 약간 역설적이지만 "나중에 새로 공부하는 마음으로 다시" 공부한 지식이 더 오래 간다는 것이죠. 시간당 효율을 따지면 이쪽이 더 낫습니다.
- '시간 당 효율'이라는 말을 눈여겨보셔야 하는데 여기에는 '같은 시간' 공부했다는 전제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배우고 그날 1시간 복습"과 "
배우고 1주일 후 1시간 복습"을 비교하면 장기적으로 후자가 더 기억에 오래남는다는 것이죠.
물론 "배우고 그날 1시간 복습하고 1주일 후 1시간 복습"하면 이게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만 이건 애초에 학습량이 더 많죠.
- 꼭 까먹을 정도로 오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간격을 두면 모두 간격학습입니다. 다만 그 간격이 길 수록 기억이 더 오래 간다는 것입니다.
그 리고 남은 날짜의 1/10으로 나눠서 10번 공부하라는 것은 아니고요, 그것은 '첫번째' 복습을 할 때까지의 최적 간격입니다. 여기서 '최적'이라는 것은 '같은 시간 공부했을 때'를 전제로 하는 것이죠. 그러니까 100일 동안 매일 똑같은 내용을 공부하면 10일에 한 번 공부하는 것보다 훨씬 더 기억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10배나 공부를 많이 했으니까요. 하지만 10일 한 번 공부하면 '들인 시간에 비해' 기억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실제 공부 스케줄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느 상황에나 적용될만한 조언을 드리자면 한 과목이나 한 단원씩 끝내는 것보다 여러 단원이나 과목을 번갈아 공부하면 간격학습이 되어서 효과적이겠지요.
대뇌 피질의 면적을 기준으로 신체 부위의 크기를 재조정한 그림
손,입술 혀가 크게 관련있음.
출처: http://www.darklingwood.com/photos/uncategorized/2008/05/27/sensory_and_motor_homunculi_2.jpg
2011년 8월 18일 목요일
Agile 프로그램 추천(Gravity)
1. Gravity
2. Dashboard
3. Agile 단계별 화면
4. 가격
홈페이지: https://www.gravitydev.com (Chrome App)
블로그: http://blog.gravitydev.com/
참고 타 서비스
- Pivotal Tracker (Chrome App)
- inkplanner 설명글
2011년 8월 17일 수요일
Evernote 노트북(Notebook)별로 공유하기
2. 우측상단에 Share 하면 된다.
3. 노트북별로 공유하는 현황이 좌측에 나오고 내가 공유받은 노트북이 우측에 나온다.(Stack한 폴더는 분류의 기능만
있으므로 공유기능은 안나온다)
4. 우측하단에(지금은 안보인지만) Gmail 연동이 나온다. 클릭하면 Gmail 주소록이 연동되어 요청할 수 있다.
5. 좌측은 Public link를 생성할 수 있고 / 우측은 사람별로 Notebook을 공유할수 있다.
2011년 8월 13일 토요일
구글 캘린더 Labs
http://www.google.com/support/calendar/bin/answer.py?answer=154174&hl=en
주요변경사항 알림 ex) Picasa
2011년 8월 12일 금요일
2011년 8월 11일 목요일
Delicious에서 Network로 Bookmarks 공유하기
2. 우측에 Go to a user를 누르면 사람을 검색할 수 있음(아이디)
3. 해당인원을 내 Network에 추가하면 그 사람이 Public으로 공유한 사항들을 같이 공유할 수 있음.
Delicious는 소셜 북마크(처음 기대치 만큼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의미있는 서비스) - Tag로 분류가 되고. 해당
링크를 사람들이 얼마나 선호하는지가 보임.
2011년 8월 9일 화요일
팀생산성 올리기 PartII
(모니터 Dual + iPad,스마트폰하면 4개까지된다)
Part II
- 칼라스캐너(연속형) 5% - 업종마다 차이는 있다.
- 스캔파일,pdf 파일을 구글독스나 Dropbox에 등록해서 링크공유하는법을 안다 10%
- 내부문서는 파워포인트 사용을 금지한다 15%
- 각종 보고서는 1page로 요약해서 보고하도록 한다 30%
(궁극적으로는 한문장 보고로 계속 압축되게 한다)
- Mail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상호 교육한다 20%
참고로
이 단계를 마치면 스마트워크, 클라우드 협업을 할수있는 바탕이 된다.
흠... 너무 제기준인가요.
2011년 8월 8일 월요일
Evernote Notebook 공유하기 - 명함
팀원들 서로 입력하려면
- 유료버전을 쓰거나
- Picasa 앨범을 공유하는 것도 좋음(회사명, 이름을 TAG로 부여)
에버노트에서는 연결된 노트북으로 나옴.
- 검색은 본인 노트북 / 연결된 노트북 각각됨.
2011년 8월 2일 화요일
2011년 8월 1일 월요일
페이스북 그룹 이메일 설정하기
1. 우측하단 View Photos 하고 Leave Group 사이에 Edit Group이 있음.(이 화면은 admin 이 아니라 안보입니다)
2. 메일 설정하는 메뉴가 보입니다. 한번 설정하면 바뀌지 않으니 간단한 것으로 설정하세요.
3. 설정후에는 첫번째 화면 좌상단에 보이는 Secret Group 우측에 메일주소가 보입니다.
참고사항
1.사진 첨부하는 경우 facebook Group에는 Upload되지 않습니다.(메일 글제목, 본문만 글로 등록됨)
2. 개인 facebook / Page fb 의 경우는 Mobile Upload 폴더로 갑니다. (메일 제목이 사진 설명으로 감)